[요약] 라이덴 드라이버 ER 250~270%, 트리거는 EM 3슬롯·용학살창. 나히다 딥우드 단일 유지, 푸리나/백출 조합이 안정. 로테이션은 나히다E→푸리나E/Q→백출E→라이덴Q(7초 온필드) 고정.
요약: 라이덴 하이퍼블룸 핵심 체크리스트
라이덴 쇼군(2021-09-01, 번개 장병기)은 하이퍼블룸에서 드라이버(온필드)·트리거(원마) 둘 다 소화한다. 드라이버는 절연4·ER 250~270%·예초/어획, 트리거는 도금4·EM 3슬롯·용학살창(EM 221)으로 치확/치피/번피는 과감히 제외.
나히다 딥우드4·푸리나·백출 조합이 씨앗 생성–소비가 제일 안정적. 로테이션은 나히다E→푸리나E(필요 시 Q)→백출E→라이덴Q(7초 온필드)로 깔끔하게 맞춘다.
(편집자 의견: 이 조합은 손이 바빠도 결과가 일정하다 — 실수 허용폭이 넓다.)
원신 UID 충전 안내: BitTopup은 합리적 가격·신속 입금 확인·안전 준수·광범위 국가/플랫폼 지원·전담 CS·높은 사용자 만족도로 레진/월패키지 충전을 실시간 처리한다.
하이퍼블룸 작동 원리와 대미지 공식
하이퍼블룸은 개화 씨앗에 번개가 닿을 때 터지며, 트리거의 레벨·EM만 피해를 결정한다. 번피·치확·치피·ATK%·특성 레벨은 영향 없음 — 투자해봐야 효율 0.
세팅은 모래/잔/왕관 전부 EM. 덴드로 내성 감소(딥우드4)는 1인만 유지, 물 오라는 상시(푸리나/행추/야란 등)로 씨앗 밀도를 끌어올린다.
(브리지: 이해 포인트는 간단하다. 누가 씨앗을 많이 만들고, 라이덴이 얼마나 자주 맞춰 때리느냐.)
포지션 결정: 라이덴 드라이버 vs 트리거
드라이버: 절연4·ER 250~270%, 예초(ER 55.1) 또는 어획(ER 45.9, Q 보너스). Q 비용 90/쿨 18초/지속 7초/타격당 1.6~2.5 에너지 회복, C2 방어 60% 무시로 화력·회전 동시 상승.
트리거: 도금4(또는 도금2+악단2)·EM 3슬롯·용학살창(EM 221). 치확/치피/번피·재능은 손대지 말 것. 보스·장판전 안정 화력은 드라이버, 다수전 반응 극대화·저비용은 트리거가 유리. 드라이버 채용 시 배터리 이점도 챙긴다.
(편집자 의견: 계정에 예초/어획 있고 보스전 비중이 높다? 드라이버 쪽으로 기울자. 반대로 성유물 파밍 여건 빡세면 트리거가 훨씬 싸다.)
쿠키 시노부 EM 풀세팅
시노부는 오프필드 번개 적용·힐을 겸하는 EM 트리거 대안. 모래/잔/왕관 EM·도금/낙원의 꽃 등 EM 중심으로. 힐러가 없거나 라이덴을 드라이버로 쓸 때 시노부 트리거를 넣고, 물 2와 함께 씨앗 밀도를 확 끌어올린다.
(작은 팁: 시노부는 힐이 있기에 안정성이 체감된다 — 특히 푸리나와 병행 시 HP 변동 관리가 부드럽다.)
깊은 숲의 기억(딥우드) 분배 원칙
딥우드는 덴드로 내성 감소 목적 — 파티 1인만 착용(중복 금지). 나히다 딥우드4(주옵 EM/EM/치확 또는 치피)로 E 상시 유지. 백출은 왕실4(모래 ER·잔/왕관 HP%·무기 드래곤 슬레이어)로 ATK 버프·치유·실드 담당. 라이덴 Q 전 백출 E로 보호막·치유 선적용.
라이덴 무기·세트 선택 요령
드라이버: 예초(종결)·어획(최상급 대체)·천공의 마루(ER 36.8, 공속·치확 8%) 중 보유에 맞춰. 절연4·모래 ER·성배 번개/ATK%·왕관 치확/치피, ER 250~270%를 목표.
트리거: 용학살창(EM 221) + 도금4(또는 도금2+악단2). 꽃/깃털도 EM 우선, 재능 투자 생략.
(왜? 하이퍼블룸은 EM·레벨만 보니까. 나머진 전부 사치.)
팀 조합 및 로테이션 설계
표준 S급: 라이덴/푸리나/나히다(C2)/백출. ‘나백’ 변형(물 2 또는 시노부 대체)도 안정적. 기본 사이클은 나히다E→푸리나E/Q→백출E→라이덴Q(7초). 라이덴 E 협동 공격은 0.9초 주기·25초 지속·쿨 10초·입자 50% 생성으로 회전 보조.
라이덴 Q 전 버프/오라(푸리나 E/Q, 나히다 E, 백출 E)를 모두 세팅. 물 2(야란/행추)로 씨앗 밀도 상승, 푸리나 Q는 라이덴 Q에 맞춰 피해 보너스를 극대화한다.
(편집자 의견: 이 타이밍만 익히면 실전 DPS가 깔끔하게 올라간다 — 로테이션 로그를 남기면 더 빨리 감 잡는다.)
원신 실시간 충전 팁: 로테이션 18~25초 사이클에 맞춰 실시간 충전하면 파밍 손실이 없다. BitTopup은 빠른 처리·넓은 결제수단·사후 지원으로 파밍 일정 지연을 방지한다.
트리거 원칙: ICD·적중 판정·씨앗 소유권
씨앗 소유권은 개화를 만든 쪽에 귀속, 번개 적중 시 하이퍼블룸 발동. 라이덴 E/Q/평타가 주기적 번개 판정을 제공하며, E 협동 0.9초 주기가 트리거 안정성에 힘을 보탠다. 오프필드 E로 꾸준히 트리거하고 Q 온필드에서 빈도를 극대화. 불 원소 혼입은 과부하로 씨앗 소비 저하 가능 — 가급적 지양.
(여기서 자주 묻는 질문: 평타 캔슬? Q 동안은 굳이 집착 말자. 일관된 히트수가 더 중요하다.)
실전 운용 예시
핵심은 에너지·버프·오라 동기화. 라이덴 Q(비용 90)는 타격당 1.6~2.5 에너지 회복으로 파티 폭발 회전률을 끌어올린다. ER 250~270% 달성 시 나히다·푸리나·백출 Q 루프가 안정화. 파티 Q 선사용으로 라이덴 스택(원소 에너지 1pt당 0.15~0.2, 최대 60) 쌓은 뒤 Q 진입. 백출 실드/치유 + 라이덴 Q 경직 면역으로 생존 보강.
(편집자 의견: ‘선버스트-라이덴 마무리’ 공식을 습관화하자. 실수 줄고 클리어 타임이 곧장 준다.)
흔한 실수와 빠른 교정
트리거에 치확/치피/번피 세팅 → 모든 슬롯 EM·용학살창 채택·재능 강화 생략.
딥우드 중복 착용 또는 라이덴 착용 → 나히다 단일 착용·백출 왕실4로 버프 분배.
ER 부족으로 Q 회전 불안 → ER 250~270% 목표·E 협동 입자·파티 Q 선사용으로 충전.
체크리스트: 나히다 딥우드4·백출 왕실4·라이덴 절연/도금 준수, 로테이션 로그로 라이덴 Q 타이밍·버프 중첩 재조정.
(짧게: EM·ER·딥우드 단일. 이 셋만 안 틀리면 절반은 성공.)
파밍 가이드: 비경·재료·요일
절연: 야시오리섬 ‘단풍의 정원’, 도금: 층암거연 ‘연각의 탑’, 딥우드: 덴드로 비경. 특성 비경 ‘천광’은 수/토/일 개방, 트리거 빌드는 특성업 우선도 낮다.
주요 재료: 승리의 자수정, 뇌정의 구슬(세이라이섬 ‘뇌음의 권현’), 아마쿠모초, 코등이(오래된/카게우치/명검), ‘천광’ 계열, 주간 보스 ‘용해의 순간’, 지식의 왕관. 레진은 절연·도금·딥우드에 분배하고 ‘뇌음의 권현’ 루트를 주기적으로 순회.
(브릿지 팁: 도금·딥우드 동시 파밍 루트를 미리 잡아두면 레진 효율이 체감된다.)
FAQ
야란과 행추 중 누가 더 좋나?
물 2(야란+행추)로 씨앗 밀도를 극대화. 단일 채용 시 지속 수 부착·파티 구성 고려하되, 푸리나로 물 오라 안정화가 가능하다.라이덴을 드라이버로 쓸 때 필수 수치는?
절연4·ER 250~270%·예초/어획·치확 55~70%·치피 110~160%, Q 비용 90/지속 7초 기준으로 회전/화력 최적화.트리거 라이덴의 핵심은 무엇인가?
도금4(또는 도금2+악단2)·EM 3슬롯·용학살창(EM 221). 치확/치피/번피·재능 레벨은 배제.딥우드는 누가 착용해야 하나?
나히다 단일 착용. 백출은 왕실4로 ATK 버프·치유·실드 담당.푸리나는 어떻게 운용하나?
E로 지속 물 오라, Q로 HP 변동 기반 피해 증가 확보 후 라이덴 Q와 타이밍을 맞춘다.라이덴 생존이 불안하다면?
백출 실드/치유 유지, 라이덴 Q 경직 면역 활용, 불 원소 혼입 자제로 반응 경쟁을 줄인다.
(편집자 의견: 과부하가 섞이면 씨앗이 사라져서 체감 딜이 ‘텅’ 비는 순간이 온다 — 불 원소는 과감히 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