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원신 6.1 버전 최신 등급표와 메타 분석. 푸리나·느비예트 중심 1티어 파티부터 무소과금 가성비 캐릭터까지, 나선 비경 36별 클리어 핵심 전략.
2025년 11월 원신 메타 - 완전히 바뀐 게임
달 반응과 개화 메타가 완전히 판을 뒤집었다. 나선 비경 12층에서 물·풀·번개 원소 조합이 압도적 효율을 보이며, 기존 증발·융해 메타는 이제 옛날 얘기가 됐다.
라행향베(라이덴·행추·향릉·베넷)가 연월 비경 픽률 28.9%로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다. 라이덴 원폭 버프와 베넷 1000+ 공격력 증가 시너지가 현재 메타에 완벽하게 맞아떨어진다.
느비예트가 말라니를 완전히 밀어냈다는 게 개인적으로 가장 놀라운 변화다. 편의성과 안정적 클리어율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이고 있다. 12층 3번 산왕전에서 키니치가 갑자기 S등급으로 상향된 것도 흥미로운 포인트.
원소 마스터리 기반 빌드가 공격력 빌드를 완전히 압도하고 있다. 달 감전 플린스와 달 개화 네페르가 S+ 등급으로 신규 등장했는데, 이들의 임팩트가 생각보다 크다. 나히다 원마 버프와 라우마 개화·발화·만개 피해 고정 계수가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포지션별 등급표
메인 딜러 티어 - 진짜 강자들
SS 등급 (0티어)

마비카: 높은 기본 공격력, 폭발 누킹, 전의 스택 에너지 무한 제공
느비예트: 물 법구 온필드, 관통 강공격, 유연한 사이클
아를레키노: 광역 평타, 유연한 조합, 자체 딜로 힐 불가 리스크 상쇄
S+ 등급 (1티어)
플린스: 달 감전 피해, 특수 폭발 무적, 짧은 딜 타임
스커크: 해외 커뮤니티 성능 비교 최상위
네페르: 달 개화 반응, 원소 마스터리 기반 강공격 폭발 딜링
원석 효율 활용은 원석 싸게 사는법을 통해 BitTopup에서 안전하고 빠른 충전 서비스 이용. 합리적 가격으로 원하는 캐릭터 영입 가능.
서브 딜러 티어 - 숨은 주역들
SS 등급
푸리나: 원소 폭발로 파티 피해 증가 124%, 우시아 자동 공격
나히다: 최고 풀 원소 부착과 서브딜, 원마 버프 제공
야란: 강력한 서브딜과 물부착, 피해 버프 (SS→S 하락)
향릉: 마비카 시너지로 불부착과 강력 데미지
야란이 SS에서 S로 한 단계 내려간 건 좀 의외였다. 여전히 강력하지만, 새로운 캐릭터들의 등장으로 상대적 위치가 조정된 것 같다.
S+ 등급
에스코피에: 55% 물·얼음 내성 감소, 치피·추가 피해 버프
행추: 최고 물 서브딜 2위, 부착과 피해 감면
서포터/힐러 티어
SS 등급
베넷: 1000+ 공격 버프와 강력 힐링, 불의 신 출시 후에도 필수
카에데하라 카즈하: 청록 내성 감소, 피해 증가 40%, 몹몰이
실로닌: 원소별 내성 감소, 온필드 힐링, 2돌 원소별 내성
시틀라리: 0티어 서포터
베넷은 정말... 언제까지 이 자리를 지킬지 궁금하다. 불의 신이 나와도 여전히 필수라니.
1티어 파티 조합 BEST 5
검증된 국민 조합
1위: 라행향베

전반부 클리어 최적화, 연월 비경 픽률 28.9%. 라이덴 원폭 버프와 베넷 공격력 시너지, 절대 실패 없는 안정성이 여전히 최강이다.
2위: 야타나종 후반부 풀+불 조합 최적. 타이나리 체급과 나히다 엔진 활용하는 나타 지역 최적화 파티다.
3위: 에밀리 파티 에밀리가 A에서 S로 상승하면서 신캐 시너지가 우수해졌다. 불 딜러와 서포터 포함, 무소과금 친화적이라는 게 큰 장점.
원소 마스터리 기반 반응 파티
네페르 개화 파티: 네페르 + 나히다 + 행추 + 라우마 달 개화 반응으로 압도적 딜량을 뽑아낸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미있는 조합 중 하나.
쿠키 시노부 만개 파티: 쿠키 시노부 + 나히다 + 행추 + 야란 4성 중심 가성비 조합. 무과금 유저들에게 희소식이다.
느비예트 하이퍼 캐리: 느비예트 + 푸리나 + 카즈하 + 백출 편의성과 높은 데미지, 서포터 3명으로 메인딜러를 극대화하는 전략. 안정성 면에서 최고다.
2025년 11월 픽업 캐릭터 분석
현재 픽업 성능
푸리나 복각 (6.1 버전 후반 예상: 2024년 10월 1일) SS 서포터, 원폭 스택으로 파티 피해 75~120% 증가. HP 40,000+ 원충 200% 목표, 무기는 고요히 샘솟는 빛, 4세트 황금 극단이 베스트다.
콜롬비나 출시 (6.3 버전 예상: 2025년 12월 3일) 업데이트 주기 42일 기준으로 예측해본 결과다.
명함 효율 구간
푸리나 C1: 스택 즉시 증가로 편의성 향상 - 강력 추천 베넷 C1: 충분한 성능, 추가 돌파 불필요 카즈하: 명함만으로도 완성형
과금 고려 시 원신 과금 꿀팁을 참고하여 BitTopup 할인 혜택과 빠른 충전 서비스 활용. 안전한 결제 시스템과 24시간 고객지원.
전용 무기 의존도
높은 의존도: 마비카, 느비예트 (전무 권장) 중간 의존도: 푸리나, 카즈하 (대체 무기 가능) 낮은 의존도: 베넷, 행추 (3성 무기로도 충분)
원석 관리 전략
반천장 시스템과 스택 관리
90회 뽑기마다 5성 확정, 180회마다 픽업 캐릭터 확정.
우선순위는 이렇다: 푸리나 > 느비예트 > 카즈하 > 키니치 > 베넷.
원하지 않는 캐릭터 픽업 시에는 뽑기를 즉시 중단하는 게 중요하다. 하루 6회 레진 충전으로 원석 수급을 꾸준히 해야 한다.
3개월 가챠 계획
11월: 푸리나 복각 대비 원석 비축 12월: 콜롬비나 신캐 평가 후 결정 1월: 스네즈나야 업데이트 대비
월간 원석 수급량 (공월+기행): 일일 임무 1,800 + 나선 비경 600 + 이벤트 1,000-1,500 = 총 3,400-3,900 원석/월
스타라이트는 4성 캐릭터 돌파보다 운명의 인연 교환을 우선하자. 베넷, 행추, 향릉 등 핵심 4성은 가챠를 통해 자연 돌파하는 게 더 효율적이다.
무소과금 대체 캐릭터
고성능 4성 캐릭터
향릉 (불 부착·서브딜) 5.7 버전에서도 0티어 유지 예상. 마비카 시너지 강화로 더욱 강력해졌다. 필수 돌파는 C4 (폭발 지속시간 +40%).
행추 (물 서브딜 2위) 부착과 피해 감면 제공. 거의 모든 조합에서 활용 가능하다. 필수 돌파는 C2 (물 저항 -15%).
쿠키 시노부 (만개 핵심) 4성 중 유일한 풀+번개 힐러. 원소 마스터리 빌드로 만개 딜을 담당한다.
배포 무기 활용
상시 5성 선택 우선순위: 타이나리 (성능 최고, 3성 무기 가능) > 각청 (풀 조합 극강) > 진 (범용 힐러)
추천 단조 무기: 철벌 (클레이모어 딜러), 시제품 금박 (법구 서포터), 용혈창 (창 딜러)
캐릭터 육성 우선순위
특성작 vs 성유물작 효율
1순위: 메인딜러 평타/원소스킬 8레벨, 서포터 원소폭발 8레벨 투자 대비 효율이 최고다.
2순위: 성유물 메인옵션 시계(공격력%/원마), 성배(원소 피해%), 관(치확%/치피%)
3순위: 성유물 부옵션 치명타 확률:피해 1:2 비율, 공격력% > 원마 > 원충
주간 보스 파밍 우선순위
현재 사용 메인딜러 > 핵심 서포터 (푸리나, 베넷, 카즈하) > 서브딜러
주간 보스는 월요일에 몰아서 처리하고, 평일에는 성유물과 특성 재료 던전을 번갈아 진행하는 게 효율적이다.
FAQ
Q: 2025년 11월 최강 딜러는? A: 느비예트가 편의성, 데미지, 범용성 모든 면에서 SS등급 최강이다. 마비카, 아를레키노도 동등한 성능을 보인다.
Q: 무소과금 최우선 캐릭터는? A: 푸리나를 최우선으로 추천한다. 75~120% 파티 피해 증가 버프로 모든 조합에서 활용 가능하다.
Q: 베넷은 아직 필수인가? A: 1000+ 공격 버프와 강력 힐링으로 여전히 SS등급 필수다. 불의 신 출시 후에도 위상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Q: 전용 무기가 필수인가? A: 느비예트, 마비카는 전무를 권장한다. 베넷, 행추는 3성 무기로도 충분하다.
Q: 나선 비경 12층 36별 최소 스펙은? A: 메인딜러 80/90 레벨, 특성 8레벨, 치명타 60:120 이상. 서포터 70/80 레벨, 원소폭발 8레벨이면 된다.
Q: 다음 버전 추천 캐릭터는? A: 콜롬비나가 6.3 버전(12월 3일 예상)에 출시된다. 성능 평가 후 결정하는 걸 권장한다.
결론
2025년 11월 원신 메타는 푸리나·느비예트 중심 1티어 파티로 나선 비경 클리어 최적화가 핵심이다.
라행향베, 야타나종, 에밀리 파티 등 검증된 조합을 활용하고, 무소과금은 4성 중심 가성비 파티 구성에 집중하자. 원석 관리는 푸리나 > 느비예트 > 카즈하 순 우선순위로, 반천장 시스템을 고려한 계획적 가챠 진행이 중요하다.
원소 반응 기반 딜러가 압도적 우위를 보이므로 물리 딜러보다는 원소 딜러 육성에 집중하는 게 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