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크로니클드 위시는 4.5버전에 도입된 지역별 복각 전용 시스템입니다. 운명 정하기로 목표 캐릭터를 확정할 수 있죠. 5성 천장은 90회(평균 62.3회)이고, 무과금으로 월 4,900원석을 모으면 3개월 저축으로 평균 1천장 확보가 가능합니다. 소과금(공월+기행)이라면? 2개월마다 5성 1명 획득이 현실적입니다. 묶음 기원은 몬드→리월→이나즈마→수메르 순으로 로테이션됩니다.
크로니클드 위시 시스템 이해
정의 및 핵심 특징
4.5버전에 추가된 이 특수 기원 시스템은 한정 캐릭터와 상시 캐릭터를 동시에 픽업합니다. 뒤얽힌 인연을 소모하며, 일반 이벤트 기원과 천장 스택을 공유하죠.
가장 중요한 건 5성 운명 정하기 기능입니다. 목표 캐릭터를 사전에 선택할 수 있어서 픽뚫 위험을 원천 차단할 수 있거든요. 미선택 시엔 픽뚫 위험이 있으니 주의하세요.
첫 묶음은 2024년 3월 13일 몬드 캐릭터(유라·알베도·클레)로 시작했습니다. 이 시스템의 도입 목적은 명확합니다 - 장기 미복각 캐릭터 구제. 평균 1차 복각까지 31.94주(7.5개월), 2차 복각까지 37.78주(8.8개월)나 기다려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거죠.
일반 이벤트 위시와의 차이점
픽업 구성부터 다릅니다: 묶음은 한정+상시를 혼합한 지역별 로테이션이고, 일반은 신규/복각 1~2명만 픽업합니다. 5.3버전 리월 묶음을 예로 들면 백출·신학·감우·소·타르탈리아·각청·치치 총 7명이 동시에 라인업에 올라왔죠.
운명 정하기는 묶음 전용 기능입니다. 5성을 사전 선택해서 픽뚫을 방지할 수 있어요. 일반 기원은 픽업이 고정되어 있어서 선택이 필요 없습니다.
주기도 차이가 있습니다. 묶음은 2~3개월마다 지역별로 순환하며 3주간 진행되고, 일반은 매 3주마다 교체됩니다. 천장 스택은 공유되니까 묶음에서 40회 뽑고 일반에서 50회 뽑으면 천장에 도달하는 거죠.
업데이트 일정
지역별 로테이션이 확립되어 있습니다:
4.5버전 상반기(2024.3.13~4.2): 몬드
5.3버전 하반기(2025.1.21~2.11): 리월
5.6버전 하반기(2025.5.27~6.17): 이나즈마(아야카·아야토·요이미야·치오리·야에·이토·코코미·카즈하)
6.0버전 상반기(2025.9.10~9.30): 수메르(닐루·사이노·알하이탐·방랑자·타이나리·데히야)
약 2~3개월 간격으로 지역이 순환하고, 폰타인은 6.x 버전에 추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BitTopup 원신 충전에서 시장 대비 5~15%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면, 평균 5분 자동 충전으로 빠르게 뽑기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확률 및 천장 시스템
기본 확률 및 천장
기본 확률은 5성 0.6%, 4성 5.1%, 3성 94.3%입니다. 천장을 포함하면 5성 실질 확률은 1.6%, 4성은 13%로 올라갑니다.
5성 천장은 90회인데, 74회부터 매회 6%p씩 증가해서 90회에는 100% 확정됩니다. 실제 평균은 62.3회이고, 80회 이하로 획득할 확률은 91.845%입니다.
4성 천장은 10회(정확히는 9회 후)이고, 8회부터 66% 증가합니다. 픽업 4성과 기타 4성의 비율은 50:50이며, 픽뚫 시 다음 4성은 픽업 확정입니다.
원석으로 환산하면? 5성 1회 평균 9,968원석(62.3회×160), 최악의 경우 14,400원석(90회×160), 픽뚫까지 고려하면 2천장에 28,800원석이 필요합니다.
소프트/하드 피티
소프트 피티는 74회부터 시작됩니다. 매회 6%p씩 누적 증가해서 89회차에는 약 33% 확률이 되죠. 대부분의 플레이어가 이 구간에서 획득하기 때문에 평균이 62.3회인 겁니다.
하드 피티는 90회 확정 천장입니다. 89회까지 못 뽑았다면 90회차에 무조건 5성이 나옵니다.
무기 기원은 천장이 77회이고, 63회부터 7%p씩 증가하며 평균은 55.5회입니다. 픽업1/픽업2가 각각 37.5%, 픽뚫이 25%죠. 5.0 이후 1pt 시스템으로 개선되어 최대 2천장(154회, 24,640원석)으로 감소했습니다. 무과금이나 소과금이라면 무기 기원은 비추천합니다.
50:50 및 픽업 보장
5성을 획득하면 50%는 픽업, 50%는 상시(다이루크·진·모나·각청·치치)입니다. 픽뚫 시 다음 5성은 무조건 픽업 확정이죠.
예를 들어 벤티 픽업에서 모나를 획득했다면 반천장에 진입하고, 다음 5성(90회 이내)은 벤티가 확정되며 다음 이벤트로도 이월됩니다.
별빛 포착(5.0 추가): 3연속 픽뚫 시 다음 반천장에서 픽업이 확정됩니다. 장기적으로 픽업 확률이 55%로 상승하는 거죠. 묶음 기원에서 운명 정하기를 미선택하면 픽뚫이 가능하니 반드시 목표 캐릭터를 사전 선택하세요.
천장 이월 규칙
천장 스택은 캐릭터 이벤트 기원 간에 공유됩니다. 일반 기원과 묶음 기원 사이에서도 이월되어서 A에서 40회 뽑고 B에서 50회 뽑으면 총 90회로 확정되는 거죠.
무기 기원은 자체 스택을 유지하지만 운명 포인트는 시즌 종료 시 초기화됩니다. 2천장 분량(24,640원석)을 확보하기 전에는 절대 진입하지 마세요.
상시 기원은 별도 스택이라 투자 비효율적입니다. 초보자 추천 기원은 독립적으로 20회 제한이 있고, 만남의 인연 8개로 10연(20% 할인)이 가능하며 8번째에 노엘이 확정됩니다. 천장 확인은 기원 내역이나 paimon.moe를 활용하세요.
페이트 포인트 활용
획득 조건
무기 기원 전용 시스템입니다. 운명 정하기로 선택한 무기 외에 다른 5성 무기를 획득하면 1pt가 누적됩니다. 5.0 이후 1pt로 개선됐죠(이전엔 2pt였습니다).
1pt를 보유하면 다음 5성은 무조건 선택한 무기가 확정됩니다. 예를 들어 이무기 검을 선택했는데 늑대의 말로가 나왔다면 1pt를 받고, 다음 5성은 이무기 검이 확정되는 거죠. 최악의 경우 154회(24,640원석)가 필요합니다.
목표 무기 확정 방법
목표 선정: 범용성 높은 무기를 선택하세요(이무기 검 치명타 피해 66.2%, 늑대의 말로 공격력 49.6%, 사풍 원서 치명타 확률 33.1%)
원석 확보: 최소 24,640원석을 저축하세요. 소과금(월 12,490) 기준으로 약 2개월 걸립니다
운명 정하기: 기원 화면에서 목표 무기를 사전 선택하세요
뽑기 진행: 5성 획득 시 목표 외 무기가 나오면 1pt 확인 후 다음 5성이 자동 확정됩니다
포인트 관리: 시즌 종료 전에 미획득 시 포인트가 소멸하니, 충분한 원석 없이는 진입하지 마세요
BitTopup 창세의 결정 구매로 공식 대비 최대 15% 할인받고, 24시간 지원과 환불 보장까지 받으세요.
주의사항
포인트는 시즌 종료 시 초기화됩니다. 무기 기원은 약 3주간 진행되는데, 기간이 종료되면 누적 포인트가 소멸됩니다. 천장 스택은 이월되지만 포인트는 불가능하죠.
예를 들어 현재 시즌에 1pt를 획득했는데 목표를 못 뽑고 시즌이 종료되면, 다음 무기 기원에서는 0pt로 재시작하는 겁니다. 2천장 분량을 확보하기 전에는 절대 진입하지 마세요.
4성 무기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기행 무기(이무기 검·늑대 송곳니·흑암 장검)는 5성 대비 80~90% 성능을 보여줍니다. 5성 무기는 캐릭터 성능을 15~20% 향상시키지만, 그 비용으로 5성 캐릭터 1~2명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우선순위는 이렇습니다: 필수 5성 캐릭터 확보 → 주력 캐릭터 2~4돌 → 범용 5성 무기.
목표 캐릭터 선정
메타 우선순위 TOP 10
카즈하: 바람 서포터로 원소 마스터리 버프를 제공하며, 모든 원소 딜러와 시너지가 있습니다. 범용성 1위죠. 5.6버전 묶음에서 복각되며, 다음은 8~10개월 후로 예상됩니다
종려: 최강 보호막으로 생존력을 극대화합니다. 5.2버전에서 5번째 복각했고, 다음은 6.x 중반으로 예상됩니다
나히다: 풀 서포터로 격화/만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6.0버전에서 3번째 복각했고, 다음은 6.5~6.7로 예상됩니다
푸리나: 물 서브딜러로 팀 피해를 증폭시킵니다. 5.4버전에서 2번째 복각했죠
라이덴: 번개 서브딜러이자 배터리로 원소 충전을 제공합니다. 5.6버전에서 5번째 복각 예정입니다
벤티: 군중 제어 최강자입니다. 5.5버전에서 5번째 복각했고, 169일이 경과했습니다
알하이탐: 풀 메인 딜러로 격화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6.0버전 묶음에서 2번째 복각했죠
야란: 물 서브딜러로 행추와 시너지가 좋습니다. 6.0버전에서 3번째 복각했고, 1일이 경과했습니다
느비예트: 물 메인 딜러로 단일 최강 화력을 자랑합니다. 5.2버전에서 2번째 복각했고, 196일이 경과했습니다
아를레키노: 불 메인 딜러로 자체 회복 능력이 있습니다. 5.3버전에서 1번째 복각했고, 154일이 경과했습니다
파티 시너지 조합
증발: 호두/다이루크(불)+행추/야란(물)+카즈하+종려 조합입니다. 불 공격에 물을 부착해서 2배 증폭시키죠. 호두는 4.0 이후 238일간 미복각 상태입니다.
융해: 감우/아야카(얼음)+향릉/베넷(불)+카즈하+디오나 조합입니다. 얼음 공격에 불을 부착해서 2배 증폭시킵니다. 감우는 5.3버전 묶음에서 복각했죠.
격화: 알하이탐/사이노(풀/번개)+나히다+피슬+종려 조합입니다. 풀과 번개로 추가 피해를 줍니다. 6.0버전 묶음에서 복각했습니다.
만개: 닐루(물)+나히다+코코미+콜레이 조합입니다. 물과 풀로 광역 피해를 줍니다. 닐루는 6.0버전 묶음에서 2번째 복각했죠.
순수 바람: 방랑자/소+파루잔+베넷+종려 조합입니다. 바람 피해를 증폭시킵니다. 방랑자는 6.0버전 묶음에서 2번째 복각했습니다.
4성 서포터(베넷·행추·향릉·피슬)는 범용적이니까 스타라이트 34개로 교환하는 걸 권장합니다.
플레이 스타일별 추천
공격적 플레이: 메인 딜러 중심으로 가세요. 호두(불)·아야카(얼음)·알하이탐(풀)·느비예트(물)·아를레키노(불)가 좋습니다. 높은 화력을 자랑하지만 생존력은 낮습니다.
안정적 플레이: 서포터와 힐러 중심입니다. 종려(보호막)·코코미(힐)·베넷(힐+버프)·진(힐+군중제어)을 추천합니다. 전투가 길어지지만 사망 위험이 낮죠.
효율적 플레이: 범용 서포터를 우선하세요. 카즈하·종려·나히다·라이덴 4명만 있어도 대부분의 콘텐츠를 클리어할 수 있습니다.
수집형 플레이: 애정 캐릭터를 우선하세요. 클레(469일)·유라(469일) 같은 장기 미복각 캐릭터는 묶음 기원을 활용하면 됩니다.
나선비경 클리어: 메타 중심으로 가야 합니다. 단일 고화력(느비예트·알하이탐)과 광역 군중제어(벤티·카즈하)가 필요합니다. 최소 4명의 5성 딜러와 8명의 서포터가 필요하죠.
5성 vs 4성 투자 가치
5성은 기본 스탯이 30% 높고, 강력한 고유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명 확보에 평균 14,400원석(최악 28,800)이 필요하죠. 4성은 획득이 쉽고 빠르게 돌파할 수 있습니다. 10연마다 최소 1명씩 나오고, 스타라이트 34개로 교환도 가능합니다.
투자 가치 비교:
5성 메인 딜러: 4성 대비 50~80% 높은 화력으로 나선 12층에 필수입니다 ★★★★★
5성 서포터: 4성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카즈하→설탕, 종려→디오나 ★★★★☆
4성 메인 딜러: 초중반에는 충분합니다. 레이저·연비·헤이조 ★★★☆☆
4성 서포터: 5성과 동등합니다. 베넷·행추·향릉·피슬은 필수 육성 대상입니다 ★★★★★
무과금이라면 4성 서포터에 5성 메인 딜러 2~3명을 추천합니다. 소과금이라면 5성 서포터(카즈하·종려)를 추가하세요.
원석 예산 및 수급
5성 1회 필요 원석
평균 62.3회 기준으로 9,968원석이 필요합니다. 1천장은 14,400원석(80회 이하 획득 확률 91.845%)이죠. 픽뚫까지 고려하면 2천장에 28,800원석이 안전합니다.
실제 사례를 보면, 무과금 A는 종려를 70회에 뽑아서 11,200원석을 썼고, 소과금 B는 나히다를 픽뚫+천장으로 28,800원석을 썼으며, 과금 C는 푸리나를 30회에 뽑아서 4,800원석을 썼습니다.
확률 분포는 이렇습니다: 1~73회 50%, 74~89회 42%, 90회 8%. 평균 14,400원석을 기준으로 계획하되,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서 28,800원석을 목표로 하세요.
최대 소모량
최악의 경우 2천장에 180회×160=28,800원석입니다. 무기 기원은 1pt 시스템으로 최악 154회×160=24,640원석이 필요합니다(5.0 이전에는 231회×160=36,960원석이었으니 33% 개선된 거죠).
원석 환산: 10연 1,600, 반천장 14,400, 2천장 28,800, 무기 2천장 24,640.
현금으로 환산하면 창세의 결정 6,480개가 109,000원(16.8원/원석)이니까, 2천장에 약 484,000원입니다. 첫 구매 2배 보너스를 활용하면 약 242,000원이죠. 공월(5,900원, 3,000원석)+기행(12,000원, 9,180원석 상당)을 월 17,900원에 이용하면 2개월마다 5성 1명을 확보할 수 있어서 훨씬 효율적입니다.
월간 수급
무과금 월 4,900원석:
일일 임무: 60×30=1,800
연월비경: 600×2=1,200
환상극: 900
이벤트: 1,200
출석+리딤코드+기타: 800
소과금(공월) 월 7,900원석: 무과금 4,900+공월 3,000(초기 300+매일 90×30). 공월은 5,900원으로 1.97원/원석입니다.
소과금(공월+기행) 월 12,490원석: 무과금 4,900+공월 3,000+기행 4,590(원석 680+뒤얽힌 4개 640+만남 5개 800+육성). 기행은 12,000원인데 총 가치는 20,000원 이상입니다.
스타더스트 교환으로 월 5개의 뒤얽힌(800원석 상당)을 얻을 수 있습니다. 75×5=375 스타더스트가 필요하죠.
계산기 사용
paimon.moe: 원신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원 추적 도구입니다. 기원 내역을 업로드하면 천장 스택, 픽뚫 여부, 평균 획득 횟수를 자동으로 계산해줍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게임 내 기원→내역→새로고침→URL 복사→paimon.moe→Wish Counter→Import Wish History→붙여넣기→Import.
제공되는 정보는 천장 스택(마지막 5성 이후 횟수), 픽뚫 여부(픽업/상시), 평균 획득 횟수(전체 62.3회와 비교), 확률 통계(소프트 피티 진입 여부), 기원 내역(시간순) 등입니다.
활용 팁: 매 버전마다 업데이트하고, 74회 이상이면 소프트 피티니까 계속 뽑으세요. 픽뚫이면 원하는 픽업까지 대기하고, 평균 62.3회보다 높으면 운이 나쁜 거고 낮으면 좋은 겁니다.
Genshin Wish Simulator: 실제 확률(5성 0.6%, 천장 90회)과 동일하게 작동하는 무료 가챠 체험 도구입니다.
사용법: genshin.gamedot.org에 접속→픽업 선택→1회/10회 뽑기→결과 확인.
활용 방법은 확률 체감(실제 뽑기 전에 기대치 조정), 천장 테스트(90회까지 소프트 피티 확인), 재미(원석 없이 욕구 해소), 교육(초보자에게 천장 설명 시연) 등입니다.
주의할 점: 시뮬레이터 결과는 실제와 무관합니다. 각 뽑기는 독립 시행이라서 이전 결과가 다음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커뮤니티 스프레드시트: 구글 시트 형태로 월간 수급, 목표별 필요 원석, 저축 기간을 자동으로 계산해줍니다.
기능은 월간 수급 계산(무과금/소과금/과금 선택), 목표 캐릭터 입력(우선순위 부여), 필요 원석 산출(평균/최악 천장), 저축 기간 계산(확보 가능 시기), 스킵 캐릭터 추천(원석 부족 시) 등입니다.
사용법: 커뮤니티 링크→파일→사본 만들기→기본 정보 입력(보유 원석·유저 유형·월간 수급)→목표 캐릭터 입력(이름·픽업 시기·우선순위)→자동 계산 확인.
예시를 들면, 무과금으로 5,000원석을 보유하고 있고 3개월 후 카즈하, 5개월 후 나히다, 7개월 후 종려를 입력하면 카즈하 확보 가능(평균), 나히다 확보 가능(평균), 종려 원석 부족 스킵 권장이라고 나옵니다.
유저별 뽑기 플랜
무과금: 선택과 집중
월 4,900원석으로 3개월 저축하면 평균 1천장(14,700), 6개월 저축하면 2천장(29,400)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전략:
뒤얽힌 인연만 사용하세요. 만남의 인연은 인게임 지급분만 쓰세요
메인 딜러 2~3명을 우선하세요. 서로 다른 원소(불·물·얼음·풀·번개)로요
4성 서포터를 육성하세요. 베넷·행추·향릉·피슬은 스타라이트로 교환하세요
무기 기원은 금지입니다. 4성 무기(기행·단조)로 충분합니다
장기 계획을 세우세요. 유출 정보로 향후 3버전(1년) 동안의 목표 2~3명을 선정하세요
실제 사례: 무과금 A는 종려를 목표로 3개월 저축해서 19,700원석을 확보했고, 70회에 획득해서 11,200원석을 소모했습니다. 잔여 8,500원석은 나히다 저축에 사용했죠.
소과금: 공월+기행
월 12,490원석으로 2개월 저축하면 2천장(24,980)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무과금 대비 3배 빠른 속도죠.
전략:
공월을 유지하세요: 5,900원에 월 3,000원석, 최대 180일까지 누적됩니다(209일까지)
기행을 선택적으로 구매하세요: 12,000원에 원석 680+뒤얽힌 4+만남 5+육성+무기. 기행 무기는 5성 대비 80~90% 성능입니다
4성 운명의 자리를 챙기세요: 베넷 1돌·행추 2돌·향릉 4돌·피슬 6돌을 스타라이트로 교환하세요
유출 정보를 참고하세요: 베타·PV·데이터 마이닝으로 향후 신규/복각을 예측하세요
선택적으로 무기 기원에 진입하세요: 범용 무기(이무기 검·늑대의 말로·사풍 원서)는 2천장을 확보한 후에 진입하세요
실제 사례: 소과금 B는 월 12,490원석으로 나히다를 2개월 저축(24,980)했는데 픽뚫+천장으로 28,800원석을 소모했습니다. 다음 달에 추가로 푸리나를 확보했죠. 연간 214,800원(공월 70,800+기행 144,000)으로 5성 약 6명을 확보했습니다.
과금: 효율적 구매
전략:
공월+기행을 기본으로 하세요: 월 17,900원에 약 12,490원석, 직접 구매 대비 10배 효율입니다
첫 구매 2배 보너스를 활용하세요: 6,480개(109,000원)→첫 구매 12,960개(8.4원/원석). 모든 패키지의 첫 구매를 소진한 후에 추가 구매하세요
신규 캐릭터를 우선하세요: 복각은 재등장하지만 신규는 첫 픽업을 놓치면 평균 7.5개월을 기다려야 합니다
운명의 자리를 선택하세요: 라이덴 2돌(방어 무시 60%)·카즈하 2돌(원소 마스터리 200)·푸리나 1돌(HP 변화량 증가)
무기 기원을 활용하세요: 캐릭터를 충분히 확보한 후에 범용 5성 무기를 노리세요
실제 사례: 과금 C는 월 10만원을 씁니다. 공월+기행(17,900)+창세 6,480개(109,000, 첫 구매 12,960개)로 월 25,450원석을 확보합니다. 매달 5성 1~2명씩 확보하며 신규 대부분과 일부 복각을 챙깁니다.
크로니클드 vs 일반 위시
장단점
크로니클드 장점: 장기 미복각 캐릭터에게 기회를 줍니다(유라 469일·알베도 469일). 운명 정하기로 확정할 수 있고, 상시 캐릭터도 포함되며, 지역별로 예측 가능한 일정이 있고, 천장 스택이 이월됩니다.
크로니클드 단점: 제한적인 라인업(지역별만), 신규 미포함, 미선택 시 픽뚫 위험, 2~3개월의 긴 주기, 상시 혼합으로 한정 확률 감소.
일반 장점: 신규를 획득할 수 있고, 픽업이 명확(1~2명)하며, 3주마다 교체되어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고, 50:50 확정이 보장되며, 별빛 포착(5.0)으로 3연속 픽뚫을 방지합니다.
일반 단점: 복각 대기가 불확실(평균 7.5개월, 최장 2.2년)하고, 상시가 미픽업되며, 개발사 재량에 따른 순서라서 예측이 어렵습니다.
선택 기준
묶음이 유리한 경우: 장기 미복각 캐릭터(클레·알베도·유라·타르탈리아), 해당 지역의 여러 명이 필요한 경우, 상시 캐릭터를 동시에 원하는 경우(모나·다이루크), 다음 일반 픽업에 무관심한 경우, 천장 스택이 이미 쌓인 경우.
일반이 유리한 경우: 신규 캐릭터(첫 픽업을 놓치면 7.5개월), 특정 한정만 목표인 경우, 묶음 라인업에 미포함된 경우, 픽업 성능이 메타상 중요한 경우, 복각 주기가 짧은 경우(나히다·푸리나).
실전 예시: 5.6버전에 이나즈마 묶음(카즈하·아야카·라이덴)과 일반(신규 X)이 동시에 진행됩니다. 카즈하를 원하면 묶음+운명 정하기, 신규 X를 원하면 일반을 선택하세요. 둘 다 원하면 천장 스택과 원석을 고려해서 우선순위를 결정하세요.
ROI 비교
5성 한정 가치를 100, 상시를 60~80, 4성을 20~40으로 기준 삼으면...
묶음 ROI: 운명 정하기를 선택하면 100(일반과 동일), 미선택 시 60~100(상시 포함), 평균 80~90.
일반 ROI: 픽업 획득 시 100, 픽뚫 시 60~80(상시)이지만 다음에 확정되므로 장기적으로는 100, 평균 100.
원석 효율: 묶음은 평균 14,400원석(운명 정하기 선택), 일반은 평균 14,400(픽뚫 시 28,800). 운명 정하기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효율이 동일하지만, 미선택 시 묶음이 약간 불리합니다.
장기 분석: 1년에 58,800원석(무과금)을 투자한다고 가정하면, 일반은 5성 4명(평균 천장), 묶음은 운명 정하기 사용 시 4명, 미사용 시 3~4명+상시 1~2명. 상시 가치를 낮게 평가하면 일반이 약간 유리하고, 모나·다이루크를 원하면 묶음도 좋습니다.
흔한 실수 회피
천장 직전 중단
천장 스택은 이월되니까 중단해도 되지만, 74회 이상(소프트 피티)이면 계속 진행하는 걸 권장합니다. 89회 스택이면 다음 1회에 무조건 5성이 나오니까 반드시 완료하세요. paimon.moe로 현재 스택을 확인하세요.
실제 사례: 유저 D는 벤티를 85회까지 뽑다가 중단했고, 다음에 종려를 5회 뽑아서 총 90회에 종려를 획득했습니다. 벤티에서 5회만 더 뽑았다면 벤티를 획득하고 종려는 새로 시작할 수 있었을 텐데요.
잘못된 타이밍
픽뚫 상태를 모르고 뽑는 실수입니다. 이전에 픽뚫이 났다면 반천장 상태라서 다음 5성은 픽업이 확정됩니다. 원하지 않는 픽업에서 뽑으면 확정을 낭비하는 거죠.
예시: 유저 E는 나히다에서 픽뚫(모나)이 나서 반천장 상태였는데, 다음 픽업(관심 없는 Y)에서 10연을 돌렸습니다. 5성 Y가 확정으로 나와서 나히다 복각 기회를 낭비했죠.
회피 방법: 매 픽업 전에 paimon.moe로 픽뚫을 확인하고, 반천장이면 원하는 캐릭터까지 절대 뽑지 마세요. 4성이 필요해도 참고 대기하세요(스타라이트 교환 활용).
실제 사례: 유저 F는 종려에서 픽뚫(진)이 나서 반천장 상태였는데, 3개월간 스킵하고 나히다 복각 때 30회만에 확정으로 획득해서 19,200원석을 절약했습니다.
중복 확보 대처
운명의 자리는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투자 가치가 높은 돌파는 라이덴 2돌(방어 무시 60%)·카즈하 2돌(원소 마스터리 200)·푸리나 1돌(HP 변화량)·호두 1돌(강공격 스태미나 제거)·나히다 2돌(원소 마스터리 기반 치명타)입니다.
투자 가치가 낮은 건 종려·벤티·코코미 1~6돌(0돌로 충분)입니다.
중복이 나오면 의도가 아니었다면 다음부터 스킵하고, 스타라이트 10개(인연 2개 교환)를 받으세요. 가치가 높으면 2돌을 고려하고, 낮으면 중단하세요.
실제 사례: 유저 G는 종려를 30회에 획득하고 한 번만 더라며 20회를 더 돌렸는데 또 종려가 나왔습니다. 1돌 가치가 낮아서 아쉬웠지만 스타라이트 10개로 뒤얽힌 2개를 교환했죠.
페이트 포인트 낭비
무기 기원 포인트는 시즌 종료 시 소멸됩니다. 24,640원석을 확보하기 전에는 절대 진입하지 마세요.
실제 사례: 유저 H는 이무기 검에 10,000원석을 투자했는데 5성을 못 뽑고 중단했습니다. 시즌이 종료되면서 포인트가 소멸되었고, 다음 무기 기원에서 0pt로 재시작하면서 이전 투자가 낭비되었죠.
회피 방법: 24,640원석을 확보한 후에만 진입하고, 중간에 부족하면 과금으로 보충하거나 포기하세요. 소멸 전에 반드시 목표를 획득하고, 4성 무기로 충분하면 스킵하세요.
대안: 기행 무기(이무기 검·늑대 송곳니)를 12,000원에 확정 획득하세요. 5성 대비 80~90% 성능입니다. 무기 기원 24,640원석(400,000원 상당)보다 기행 무기 6개(72,000원)가 훨씬 효율적입니다.
실전 성공 사례
무과금 3개월 계획
유저 A는 종려를 목표로 3개월 계획을 세웠습니다. 5.2버전 복각이 예상되었고(유출), 5,000원석을 보유하고 있었죠.
계획: 목표는 종려 1명, 최악 2천장(28,800), 수급은 월 4,900×3=14,700, 총 5,000+14,700=19,700. 평균 천장(14,400)은 확보되지만 최악의 경우엔 부족하니까 추가 1개월이 필요하거나 운에 맡겨야 했습니다.
실행: 3개월간 일일·연월·환상극·이벤트를 완료했고, 중간에 나온 신규(마비카·시틀라리)는 완전히 스킵했습니다. 스타더스트로 월 5개의 뒤얽힌(총 15개, 2,400원석)을 교환하고, 리딤코드로 300원석을 추가했죠.
결과: 5.2버전에 19,700원석으로 70회만에 종려를 획득해서 11,200원석을 소모했습니다. 잔여 8,500원석은 나히다 저축에 사용했죠. 성공 요인은 유출 활용, 철저한 스킵, 장기 계획이었습니다.
교훈: 무과금도 3개월 계획으로 원하는 5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목표를 명확히 하고, 중간 유혹을 차단하며, 모든 수급원을 활용하는 겁니다.
소과금 듀얼 픽업
유저 B는 공월+기행으로 월 12,490원석을 확보했습니다. 나히다와 푸리나가 목표였죠. 나히다는 6.0버전, 푸리나는 6.2버전 복각이 예상되었습니다.
계획: 목표는 2명, 수급은 월 12,490×4=49,960, 필요한 건 나히다 최악 28,800+푸리나 평균 14,400=43,200, 여유는 49,960-43,200=6,760.
실행: 공월을 4개월(23,600원), 기행을 4회(48,000원) 구매했고, 중간 신규는 스킵했으며, 기행 무기로 이무기 검을 받아서 무기 기원을 대체했습니다.
결과: 6.0버전에 나히다를 픽뚫(모나)+천장으로 28,800원석을 소모했습니다. 잔여 21,160+다음 달 12,490=33,650으로 6.2버전에 푸리나를 60회(9,600원석)에 획득했고, 최종 24,050원석이 남았습니다. 총 71,600원(월 17,900×4)으로 5성 2명을 확보한 거죠.
교훈: 소과금은 2~3개월마다 5성 1명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공월+기행의 가성비가 압도적이니 직접 구매보다 우선하세요.
천장 최적 활용
유저 C는 천장 스택 이월과 픽뚫 확정을 완벽하게 이해했습니다. 목표는 카즈하·라이덴·나히다 3명을 최소 원석으로 확보하는 거였죠.
전략: 픽뚫을 유도(관심 없는 픽업에서 의도적으로 픽뚫→반천장), 천장 스택 관리(목표 직전까지 70~80회 유지), 확정 천장 활용(반천장에서 목표 픽업 시 최소 뽑기).
실행: 4.8버전에 관심 없는 X를 50회 뽑아서 픽뚫(다이루크)을 유도했고, 반천장을 유지하며 5.6버전까지 저축(8개월)했습니다. 5.6버전에 카즈하를 30회만에 확정(총 80회)으로 획득하고, 다시 저축해서 5.8버전에 라이덴을 픽뚫(진)으로 획득했습니다. 반천장을 유지하다가 6.0버전에 나히다를 40회만에 확정으로 획득했죠.
결과: 카즈하 80회(12,800), 라이덴 약 140회(22,400), 나히다 40회(6,400), 총 260회(41,600원석)로 5성 4명(카즈하·다이루크·라이덴·진·나히다)을 확보했습니다. 1명당 평균 10,400원석으로 일반 14,400 대비 28%를 절약한 겁니다.
교훈: 천장 시스템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원석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픽뚫을 두려워하지 말고 반천장을 목표 확보에 활용하세요.
추천 도구
Paimon.moe
원신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원 추적 도구입니다. 천장 스택, 픽뚫, 평균 획득 횟수를 자동으로 계산해주죠.
사용법: 게임 내 기원→내역→새로고침→URL 복사→paimon.moe→Wish Counter→Import Wish History→붙여넣기→Import.
제공 정보: 천장 스택(마지막 5성 이후 횟수), 픽뚫 여부(픽업/상시), 평균 획득 횟수(전체 62.3회와 비교), 확률 통계(소프트 피티 진입), 기원 내역(시간순).
활용 팁: 매 버전마다 업데이트하고, 74회 이상이면 소프트 피티니까 계속 뽑으세요. 픽뚫이면 원하는 픽업까지 대기하고, 평균 62.3회보다 높으면 운이 나쁜 거고 낮으면 좋은 겁니다.
Genshin Wish Simulator
실제 확률(5성 0.6%, 천장 90회)과 동일하게 작동하는 무료 가챠 체험 도구입니다.
사용법: genshin.gamedot.org에 접속→픽업 선택→1회/10회 뽑기→결과 확인.
활용 방법: 확률 체감(실제 뽑기 전에 기대치 조정), 천장 테스트(90회까지 소프트 피티 확인), 재미(원석 없이 욕구 해소), 교육(초보자에게 천장 설명 시연).
주의사항: 시뮬레이터 결과는 실제와 무관합니다. 각 뽑기는 독립 시행이라서 이전 결과가 다음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커뮤니티 스프레드시트
구글 시트 형태로 월간 수급, 목표별 필요 원석, 저축 기간을 자동으로 계산해줍니다.
기능: 월간 수급 계산(무과금/소과금/과금 선택), 목표 캐릭터 입력(우선순위 부여), 필요 원석 산출(평균/최악 천장), 저축 기간 계산(확보 가능 시기), 스킵 캐릭터 추천(원석 부족 시).
사용법: 커뮤니티 링크→파일→사본 만들기→기본 정보 입력(보유 원석·유저 유형·월간 수급)→목표 캐릭터 입력(이름·픽업 시기·우선순위)→자동 계산 확인.
예시: 무과금으로 5,000원석을 보유하고 있고 3개월 후 카즈하, 5개월 후 나히다, 7개월 후 종려를 입력하면 카즈하 확보 가능(평균), 나히다 확보 가능(평균), 종려 원석 부족 스킵 권장이라고 나옵니다.
장기 로드맵
향후 3개월 복각 예상
6.1버전(2025.10): 상반기에 두린(신규, 불)·벤티(6번째, 169일), 하반기에 호두(5번째, 238일)·느비예트(3번째, 196일).
6.2버전(2025.11): 상반기에 네페르(신규, 풀)·푸리나(3번째, 112일), 하반기에 리니(3번째, 217일)·차스카(2번째, 217일).
6.3버전(2025.12): 상반기에 콜롬비나(신규, 물)·타르탈리아(5번째, 427일), 하반기에 방랑자(3번째, 406일)·알하이탐(3번째, 385일), 묶음은 폰타인(느비예트·푸리나·라이오슬리·나비아).
주의: 과거 패턴과 유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예측이라서 공식 발표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묶음 기원의 지역별 로테이션은 확립되었지만 폰타인의 정확한 시기는 불확실합니다.
버전별 원석 수급
일반 버전(6주): 일일 2,520+연월 1,800+환상극 900+이벤트 840+리딤코드 300+기타 500=총 6,860원석(무과금).
대형 업데이트(신규 지역): 일반 6,860+신규 탐험 2,000~3,000+신규 월드 500~1,000=총 9,360~10,860원석.
소과금 추가: 공월 4,080(90×42+300)+기행 2,120(680+640+800)=총 13,060~16,060원석(대형 업데이트).
연간 예측(무과금): 일반 8회×6,860=54,880+대형 1회×10,860=10,860, 연간 총 65,740원석(5성 4~5명).
연간 뽑기 계획
1단계 목표 선정: 메타(카즈하·종려·나히다·푸리나·라이덴), 애정(개인 선호), 시너지(보유 조합).
2단계 우선순위: S급 필수(카즈하·종려), A급 강력 추천(나히다·푸리나·라이덴), B급 선택(호두·아야카·알하이탐), C급 애정(클레·유라·요이미야).
3단계 원석 배분: 무과금 연간 65,740원석. S급 2명에 28,800×2=57,600(최악 천장), 잔여 8,140으로 A급 1명(평균 천장).
4단계 스킵 결정: 중간 신규는 대부분 스킵하고, B급 이하는 원석 여유가 있을 때만, 복각이 짧은 캐릭터(나히다·푸리나)는 다음 기회를 노리세요.
실전(무과금 2025.10~2026.9): 10월 두린·벤티 스킵→저축 11,860, 11월 네페르·푸리나 스킵→18,720, 12월 콜롬비나·타르탈리아 스킵→25,580, 1월 카즈하 복각→확보 11,180, 2~4월 저축→31,760, 5월 종려 복각→확보 17,360, 6~9월 저축·나히다 대기. 1년에 S급 2명(카즈하·종려)+A급 1명(나히다)을 확보하는 겁니다.
FAQ
Q1: 운명 정하기를 미선택하면? 라인업 내에서 랜덤으로 획득됩니다. 5.3버전 리월 묶음에서 백출·신학·감우·소·타르탈리아·각청·치치 중 원하지 않는 캐릭터가 나올 수 있죠. 반드시 목표 캐릭터를 사전 선택해서 픽뚫을 방지하세요. 5성 획득 전까지는 언제든 변경할 수 있습니다.
Q2: 무과금도 5성을 여러 명 확보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월 4,900원석으로 3개월 저축하면 평균 1천장(14,700), 연간 65,740원석으로 5성 4~5명을 확보할 수 있죠. 핵심은 목표를 명확히 하고, 중간 신규를 스킵하며, 모든 수급원(일일·연월·환상극·이벤트)을 활용하는 겁니다. 스타더스트로 월 5개의 뒤얽힌(800원석)을 교환하세요.
Q3: 픽뚫이 발생하면 다음 5성은? 반천장에 진입해서 다음 5성은 90회 이내에 무조건 픽업이 확정됩니다. 다음 이벤트로도 이월되니까 원하지 않는 픽업은 대기하세요. 예를 들어 나히다에서 픽뚫(모나)이 났다면 다음 종려까지 대기하면 종려가 확정됩니다. paimon.moe로 픽뚫을 확인하고, 반천장을 목표 확보에 전략적으로 활용하세요.
Q4: 무기 기원 진입 시기는? 2천장 24,640원석을 확보한 후에만 진입하세요. 5.0 이후 1pt 시스템으로 최악 154회(24,640)지만, 중간에 부족하면 포인트가 시즌 종료 시 소멸되어서 투자가 낭비됩니다. 무과금/소과금은 포기하고, 기행 무기(이무기 검·늑대 송곳니)로 대체하는 걸 권장합니다. 과금 유저도 필수 5성 캐릭터를 확보한 후에 고려하세요.
Q5: 복각 주기를 예측할 수 있나요? 평균 1차 31.94주(7.5개월), 2차 37.78주(8.8개월)지만 개발사 재량이라서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유출 정보(베타·PV·데이터 마이닝)로 향후 3버전(1년)까지는 예측 가능하지만 공식 발표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장기 미복각(클레 469일·유라 469일·타르탈리아 427일)은 묶음 기원을 활용하세요. 첫 픽업 시 확보하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Q6: 소과금 투자액은? 공월(5,900원)+기행(12,000원)으로 월 17,900원이 최고 효율입니다. 월 12,490원석으로 2개월마다 5성 1명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죠. 연간 214,800원으로 5성 약 6명과 기행 무기를 얻습니다. 창세의 결정 직접 구매는 원석당 16.8원으로 공월(1.97원/원석)·기행(1.31원/원석) 대비 효율이 매우 낮습니다. 공월+기행을 우선하고, 부족할 때만 직접 구매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