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2024/04/24(4.6) 출시. 목표: BoL 30%+ 상시, 루프는 E 명중→강공 회수→평타→Q→E. 원충 120~130%, 방패는 상시. 종결 세팅: 단편4 + 붉은 달.
개요: 아를레키노와 ‘생명 결속’ 운용 목표
핵심 포인트: 불/장병기 온필드 딜러. BoL(생명 결속)을 ‘소모’해서 평타가 불 원소로 전환되고, E로 핏값을 묻힌 뒤 강공으로 회수해 BoL 65%+ 획득. BoL은 최대 145%까지 쌓임.
구체 데이터/예시:
출시: 2024/04/24, 4.6. 복각 5.3 미확정. 기본(90): HP 13103, ATK 342, DEF 765, 치피 88.4%.
실행 단계: 1) BoL ≥30%를 꾸준히 유지, 원충 120~130% 확보. 2) 사이클은 E→강공 회수→평타→Q→E. 3) 힐 무시·자해 리스크가 있어 방패는 상시 운용.
충전/결제 안내:
원신 안전 결제 충전: BitTopup 합규·1~3분 반영·가격 경쟁력·다중 결제·24/7 상담·영수증 보증. UID 기반 절차로 오충전 리스크 최소화. (편집자 의견: 파밍 전에 루프 감만 잡아도 손이 확 풀립니다. BoL 30%선, 체감상 그 ‘불 꺼지기 직전’이죠.)
생명 결속(BoL) 이해: 정의·작동·상호작용
핵심 포인트: BoL ≥30%면 평타가 불로 전환. 평타로 BoL을 쓸 때마다 E 쿨이 0.8초씩 줄어듦. 딜 자원이고, 35초 안에 145%까지 누적 가능.
구체 데이터/예시:
E 핏값: 가시 26.7%, 베기 240.4%, 핏값 피해 57.2%/5초×2, 30초 지속, 회수 시 BoL 65%+. Q: 666.7% 피해, BoL 150%+ATK 150% 회복, E 쿨 초기화(60에너지/쿨 15s).
실행 단계: 1) E로 핏값 부여→5초 대기 또는 강공으로 즉시 회수. 2) BoL ≥30% 유지해 평타 전환·E 쿨 단축을 동시에. 3) Q로 BoL 150% 회복 + E 초기화로 루프를 압축. (편집 메모: BoL을 ‘게이지’라 생각하면 편해요. 채우고, 태워서 딜하고, Q로 다시 채우기.)
필수 운영 원칙: BoL 유지와 리스크 관리
핵심 포인트: BoL <30%면 화력이 바로 꺼짐. 외부 힐 대부분 무시라 회복은 사실상 Q 의존. 방패 없으면 경직·자해로 루프 붕괴.
구체 데이터/예시:
원충 120~130% 권장, E 입자 5개로 Q 주기 맞춤. 방패: 종려/토마/레일라/남연.
실행 단계: 1) 강공 회수 타이밍을 5초 내로 고정해 BoL 유지. 2) E가 빗나갔으면 Q 즉발로 초기화. 3) 종려 E→베넷 Q→카즈하 EQ→진입 루틴으로 안정화. (왜 방패를 고집하냐고요? 맞다이 중에 경직+자해가 한 번 꼬이면 BoL과 타이머가 다 틀어집니다 — 그 손실이 큽니다.)
버스트 캔슬 테크: 프레임·입력 타이밍
핵심 포인트: Q(쿨 15s/60에너지) 종료 ‘직전’에 E 입력으로 애니 캔슬. 즉시 초기화된 E를 또 쓰면서 사이클을 한 번 더 압축.
구체 데이터/예시:
4돌: 회수마다 Q 쿨 -2s + 에너지 15pt 획득 → Q 가동률 상승.
실행 단계: 1) 패턴: E→평타→Q(끝 직전 E)→E→강공 회수→평타. 2) 실패했으면 강공을 빠르게 섞어 BoL 회수→E 쿨 추가 단축. 3) 원충 ≥120%로 매 사이클 Q 가능성 확보. (편집자 의견: Q→E 타이밍은 ‘막타 모션이 꺼질락 말락’에 누르는 감각. 훈련하면 손이 기억합니다.)
증발 루트 최적화: 하이드로 선적용과 ICD
핵심 포인트: 하이드로를 먼저 묻히고 평타로 증발. 반응 ICD가 약 2.5초라 강공 캔슬로 타이밍을 조절.
구체 데이터/예시:
파티: 아를레키노 + 야란/행추 + 종려/남연 + 베넷/실로닌. 야란 가피증 30%로 우선 채용.
실행 단계: 1) 하이드로 E/Q 선부착→E→강공 회수→평타 1~2회 증발. 2) 강공 캔슬로 ICD와 하이드로 갱신을 동시 관리. 3) 종려 방패로 자해·경직 차단. (브릿지 팁: ICD가 도는 동안 평타 템포를 반 박자 늦추면 증발 손실이 줄어요.)
파티 구성: 버퍼/서브딜러/방패 채용
핵심 포인트: 깡불 하이퍼캐리(아를레키노+종려+카즈하+베넷)가 가장 안정. 증발 루트는 야란 우선.
구체 데이터/예시:
베넷 공+1000/2불 공명, 카즈하 불피증 40%+내성 감소, 운근 평타 버프, 실로닌 버프+보조 힐. 깡불은 평타 누적 4000%+ 딜, 증발은 ICD 숙련이 필요.
실행 단계: 1) 기본형: 종려+카즈하+베넷으로 보스/나선에 대응. 2) 증발형: 야란+종려+베넷, 하이드로 유지·방패 필수. 3) 푸리나 채용 시 자해·열기 관리와 보호막 병행.
BitTopup 충전 가이드:
원신 공식 충전 경로: 지역 서버·UID 절차 안내, 신속 반영·가격 메리트·안전 검증. 결제·고객센터 일원화로 연구 중에도 즉시 크리스탈 확보. (편집 메모: 깡불은 쉬우면서 세고, 증발은 숙련 보상이 큽니다. 취향 따라 가세요.)
장비 세팅: 성유물·폴암·스탯 밸런스
핵심 포인트: 단편 4세트가 최적, 무기는 1순위가 붉은 달의 형상.
구체 데이터/예시:
성유물: 단편4(공 18%+BoL 변동 시 피해 +54%) > 검투사4(평타 +35%) > 시메4(평타 +50%, 에너지 -15). 주옵: 모래 공%, 성배 불피/공%/HP%, 왕관 치피/치확/공%. 목표: 치확 70+, 치피 200+, ATK 2500+.
무기: 붉은 달(BoL +25%, 치확/치피) > 화박연(손실 ≈5%) > 결투의 창(치확/공).
실행 단계: 1) 단편4 파밍, 임시로 검투사4 사용 가능. 2) 붉은 달 없으면 결투의 창 + 원충 120%로 루프 안정. 3) 증발 특화 시 원마(원소 마스터리) 서브옵션·무기로 보조. (편집자 의견: 성배 불피가 기본값. 다만 단편4로 BoL 흔들며 싸울 거면 치확/치피 밸런스를 더 꼼꼼히 봐야 해요.)
로테이션 설계: 기본형과 변형 루트
핵심 포인트: 기본 루프는 E→강공 회수→평타→E→Q→E. Q로 BoL 회복·E 초기화. 증발/융해에선 강공 캔슬로 ICD(≈2.5s) 조절.
구체 데이터/예시:
Q 15s/60pt, E 30s/입자 5개, BoL 소모마다 E 쿨 -0.8s.
실행 단계: 1) 베넷 Q·카즈하 EQ 오프필드→E→강공 회수(BoL 65%+)→평타→Q 캔슬 E. 2) 보스: 종려 E→베넷 Q→카즈하 EQ→동일 루프. 3) 에너지가 모자라면 원충 130%로 보정. (짧은 팁: Q는 ‘BoL 보충+E 초기화 버튼’입니다. 애니 캔슬에 익숙해질수록 한 사이클이 짧아져요.)
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책
핵심 포인트: E 미스·BoL 저하·자해가 루프를 끊는 주범.
구체 데이터/예시:
E 미스(쿨 30s)→Q로 즉시 초기화. BoL <30%→강공 회수 5초 내 고정, 2돌 시 즉시 결산 보정. 자해/연소→종려 방패 상시.
실행 단계: 1) E 조준 루틴을 보스 패턴 빈틈에 고정. 2) 강공→평타 캔슬 템포를 ICD와 동기화. 3) E 입자 5개·4돌 15pt로 Q 템포 유지. (편집 메모: E 빗나가면 욕심내지 말고 Q로 리셋. 손해를 줄이는 게 최선일 때가 많습니다.)
실전 사례 분석: 나선 비경·보스전
핵심 포인트: 아종카베로 상·하반 안정 클리어. 광역보다 단일·혼합 구간에서 안정성이 우위.
구체 데이터/예시:
평타 11~12만(전반), 9.8~10만(후반) 사례. 과부하 파티는 처리 속도는 빠르나, 깡불이 경직·리스크 관리에서 우위.
실행 단계: 1) 카즈하 EQ 내감·불피증 후 베넷 Q→진입. 2) 단일전: 종려 방패→E→강공 회수→평타→Q 캔슬 E로 패턴 끊기. 3) 증발: 야란 선부착→평타 1~2회 증발→Q로 재충전. (편집자 의견: 잡몹 몰이 구간만 아니면 깡불 루트의 일관성이 체감이 큽니다.)
데이터·검증: 프레임/영상/시뮬레이터 활용
핵심 포인트: Q 종료 직전 E 입력 성공률이 핵심. 강공 캔슬로 BoL 회수·ICD를 동시에 관리.
구체 데이터/예시:
프레임 체크로 Q→E 타이밍 표준화, 강공 직후 캔슬로 손실 최소화.
실행 단계: 1) 스톱워치로 Q→E 타이밍 훈련, 버프 지속과 동기화. 2) 사이클별 원충(120~130%), BoL(≥30%), E 쿨 잔여를 로그. 3) 목표: BoL 145% 유지율↑, Q 사이클당 E 2회 활용↑. (작은 팁: 영상 리플레이로 손 모션을 체크하면, 실패 패턴이 보입니다—뇌피셜보다 정확합니다.)
FAQ·업데이트 정책
Q1. BoL 누적·유지법?
E 핏값 부여 후 5초 또는 강공 회수로 65%+, 최대 145%. 평타로 7.5%씩 소모되고 E 쿨 -0.8s, Q로 BoL 150% 회복+E 초기화.
Q2. 버스트 캔슬 타이밍?
Q 종료 직전 E 입력. 실패 시 강공을 즉시 섞어 BoL 회수로 E 쿨을 추가 단축.
Q3. 행추 vs 야란?
증발은 야란 우선(가피증 30%·오프필드 물), 행추 대체 가능. 둘 다 선부착 후 진입.
Q4. 베넷 힐과 BoL 충돌?
힐 효율은 낮지만 공+1000·2불 공명·필드 버프로 화력 상승이 커 채용 가치 높음.
Q5. 푸리나 시너지?
증발·버프 시너지는 있으나 자해·열기 관리 필요, 종려 방패 병행 권장.
Q6. 복각 일정?
2024/04/24 출시, 5.3 복각 미확정. 공지 확인 후 파밍·로테이션 계획 조정. (편집자 의견: 패치 하나에 루프 감이 바뀌진 않지만, 수치·버그 픽스는 체크해두면 손해가 없습니다.)
CTA: 이 글 북마크하고, 본인 로그/영상으로 Q→E 타이밍과 BoL 유지율을 직접 점검하세요. 패치 반영 시 최우선으로 업데이트합니다.